Lionbridge Games 선정 2024년 톱 5 블로그 게시물

역대 최고의 한 해였던 2024년의 주요 성과


2024년은 Lionbridge Games는 물론이고 전체 게임 업계에도 엄청난 한 해였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찾아온 불황 속에서도 게임 업계는 어느 정도 성장세로 돌아서는 데 성공했습니다. 2024년의 게임 산업의 총매출은 약 1,877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1% 증가했습니다. 물론 20년대 초반에 비하면 시장의 성장세가 더뎌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게임 산업의 성장이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2025년이 시작되는 이 시점, 시장 분석과 트렌드 파악은 그 어떤 과제보다도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도 성공을 기원하며 2024년에 가장 인기 있었던 블로그 게시물 5개를 모아봤습니다.

5. 게임 마케팅이 어려운 이유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에게 마케팅은 갈피를 잡기 어렵고 부담스러운 영역으로 느껴지기 마련입니다. 특히 비디오 게임 마케팅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훨씬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마케팅은 게임 성공의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개발 과정에서 홀대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케팅 자체를 "게임을 팔아서 수익을 내는 행위"로 국한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입니다. 그렇다면 제품 개발 단계, 그리고 제품 판매 단계 사이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이 블로그에서는 게임 마케팅이 어려운 이유 5가지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마케팅의 모호한 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게임 마케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4. 미래의 플레이어

게임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로 인해 비디오 게임을 제작하고 판매하는 방식은 물론, 플레이어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역시 속속들이 변하고 있습니다. 플레이어들의 습관과 우선순위, 기대치는 끝없이 변화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게임 개발사 역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인 변화를 꾀해야 합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비디오 게임의 소비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우수한 플레이어 경험을 만드는 과정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살펴봅니다. 접근성, 모바일 게임, 수익화 방식 등의 주요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면 현재 및 미래 플레이어의 기대치에 부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3. 잘 만든 게임이 실패하는 이유: 플레이어 경험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

게임 시장의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매일 훌륭한 게임이 쏟아지는 지금, 이제는 단순히 "좋은" 게임을 제작하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좋은" 게임과 "훌륭한" 게임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플레이어 중심"이라는 개념이 게임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소개합니다. 놓치지 마세요! 아무리 좋은 게임을 만들어도 단 한 건의 나쁜 플레이어 경험으로 인해 게임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 크라우드 테스트, 플레이어 지원, 커뮤니티 관리에 투자하는 것이 그토록 중요한 이유를 직접 확인해 보세요.

2. 게임 성능 테스트 과정 통합: FQA와 LQA 통합으로 플레이어 경험을 개선하는 방법

언어 품질 보증(LQA)과 기능 품질 보증(FQA)은 게임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사실만큼은 이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게임 테스팅 프로세스가 가장 적절한지에 대한 부분에서는 업계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게임 테스팅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테스팅 프로세스를 분리하면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곳의 공급업체를 통해 FQA와 LQA 서비스를 모두 제공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공급업체를 통합했을 때의 장점을 확인해 보세요.

1. 번역에서 문화화로의 전환: 효과적인 게임 마케팅을 위한 로컬라이제이션

비디오 게임 로컬라이제이션 분야는 길고 복잡한 역사를 거쳐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로컬라이제이션 방법론이 탄생했으며, 그중 일부는 서로 상반되는 주장을 펼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방법론과 이론의 핵심은 결국 단 하나입니다. 바로 플레이어들에게 문화적 공감대와 풍성함을 안겨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백서를 통해 비디오 게임 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를 살펴보고, "문화화"라는 개념이 어떻게 로컬라이제이션의 접근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이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문화화에 관한 비디오도 시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영상에서는 로컬라이제이션 전문가들이 직접 나와 새로움과 친숙함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몰입감이 넘치면서도 문화적 감수성이 담긴 높은 품질의 번역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확인해 보세요.

자세히 알아보고 싶거나 논의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신가요? Lionbridge Games의 게임 전문가에게 문의해 보세요.


linkedin sharing button
  • #testing_services
  • #game-translation
  • #content_creation
  • #translation_localization
  • #game-services
  • #blog-posts
작성자
Abigail Sma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