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 아웃소싱 전략, 이제 다시 생각해 볼 때입니다.

공급업체 통합을 통해 품질, 일관성 및 ROI를 높이는 방법


게임 개발은 여러 고유한 전문 역량이 요구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여기에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마케팅까지 더해지면 하나의 게임에만 열 개가 넘는 전문 팀이 투입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즉, 개발사나 퍼블리셔 입장에서는 이렇게 많은 팀을 관리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생길 수밖에 없게 됩니다.

게임 개발 아웃소싱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여러 전문 공급업체와 협력하는 방법부터 하나의 공급업체와 파트너십을 맺는 방식 또는 아예 아웃소싱을 하지 않는 선택지까지 무궁무진합니다. 물론 이러한 방식에는 개별적인 장단점이 존재하고, 활용 사례 또한 다양합니다. 하지만 게임 개발이 점점 진화함에 따라 업계의 전략 역시 표준적인 방식으로 수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임 개발 아웃소싱의 역사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 초기 비디오 게임 개발 시기에는 대부분의 스튜디오가 제작의 모든 과정을 내부에서 직접 관리했습니다. 하지만 게임이 점점 정교해지면서 하나의 팀이 모든 전문적인 작업을 감당하는 일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로컬라이제이션, QA, 마케팅 등 보조 분야에 특화된 외부 공급업체들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공급업체는 단일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일 아웃소싱 방식은 시장을 분리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퍼블리셔는 하나의 게임을 완성하기 위해 다수의 파트너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게임 산업은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어의 수요와 기대치 또한 날로 높아졌습니다. 오늘날처럼 게임의 규모와 복잡성이 커진 상황에서는 자원이 풍부한 소수의 대형 개발사조차 예외 없이 아웃소싱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보다 통합적인 방식을 지향하는 아웃소싱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전문 공급업체들은 더 많은 경험과 전문성, 인력을 갖추게 되었고, 이제는 여러 서비스를 아우르거나 게임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는 엔드 투 엔드 방식으로까지 역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방식이 업계 전반에 보편화된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많은 스튜디오가 유연성 확보, 리스크 분산, 특정 기술 역량에 대한 접근 등을 이유로 다수의 공급업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 공급업체를 고용하는 방식에도 분명한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무시할 수 없는 여러 어려운 일도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게임 개발이 점점 더 시스템 중심으로 연결되면서, 많은 개발사가 "과연 여러 공급업체를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공급업체 분산의 숨은 비용

간접 관리비 증가

여러 공급업체를 동시에 관리하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계약 협상부터 서비스 납기 관리까지, 여러 공급업체를 운영하려면 막대한 관리 업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일정 조율, 계약, 결제, NDA, 연락 창구 관리 등에 드는 시간이 누적되면 결국 핵심 업무에 투입돼야 할 자원을 빼앗기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렇게 업무 집중도가 감소하면 프로젝트 속도는 느려지고, 내부 인건비 또한 증가하게 됩니다.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공급업체가 하나 추가될 때마다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될 가능성은 증가합니다. 이렇게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시간을 낭비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지연, 작업 중복, 비용 손실, 서비스 간 연결 부족 등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게임의 품질과 출시 준비 상태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응집력 부족

파이프라인, 창작 스타일, 품질 기준 등은 공급업체마다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즉, 이와 같은 항목에서의 유기적인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디오, 로컬라이제이션, QA 및 마케팅 전반에 걸쳐 톤이나 UX, 품질 기준 등에 불일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결과, 게임이 부자연스러워지면서 게이머의 몰입감을 해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높은 인건비

전문 공급업체를 고용하는 것은 처음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계약을 동시에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합산되면서 오히려 예산을 초과해 버리는 일도 존재합니다. 또한 공급업체마다 가격 구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재정 부담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확장성 병목 현상

게다가 프로젝트의 범위가 확대되거나 변경될 경우, 공급업체 간의 조율 또한 더욱 복잡해집니다. 아울러 작업 과정에서의 비효율이 발생하는 일도 빈번합니다. 이런 계약이나 범위 조정 외에도, 변경 사항을 각 공급업체에 개별적으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속도가 크게 지연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요한 순간에 마찰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처음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어 효율성과 일관성에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수익성 약화로까지 이어집니다. 물론, 공급업체 분산 방식은 외부 업체의 전문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특정 리스크를 분산하는 등 단기적인 전술적 이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전략을 기준으로는 오히려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개발사가 공급업체의 통합을 더 현명하고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공급업체 통합이 쉽지 않은 일이라는 종래의 인식 또한 점차 희미해지는 추세입니다.

공급업체 통합의 이점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단일 공급업체와 협력하면 소통 창구도 하나로 일원화됩니다. 이는 프로젝트 관리 과정을 단순화할 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만들어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가시성과 통제력을 높여줍니다. 작업 흐름과 일정이 명확하게 보이면, 프로젝트 매니저는 변화하는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서비스 범위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게임 산업의 핵심 역량인 기민함과 탄력성 확보가 가능해집니다.

서비스 통합 및 데이터 공유

모든 팀이 한 공간에서 협업하면 데이터와 아이디어가 자연스럽게 공유됩니다. 그 결과, 주요 작업 간의 연결 역시 매끄럽게 이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협업을 통해 중복 작업을 줄이고 프로젝트 전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즉, 통합이야말로 자원과 시간을 모두 절약하는 훌륭한 전략인 셈입니다. 아울러 프로세스와 품질 기준이 통일되면 오류나 불일치로 인한 재작업 발생 가능성도 크게 줄어듭니다.

품질 개선

통합된 팀은 데이터 공유와 더불어 긴밀한 협력과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팀 간 통합이 잘 이루어지면 버그를 더 일찍 발견할 수 있고, 디자인과 내러티브 요소도 보다 일관성 있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팀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오해 역시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흐름은 개발 전반을 매끄럽게 만들고, 막판에 수정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주게 되므로 더욱더 완성도 높고 일관된 게임 경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IP에 대한 높은 이해도

IP의 여러 영역을 함께 맡는 전담 파트너는 게임의 세계관과 톤, 용어, 그리고 창작 의도를 오랜 시간에 걸쳐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게임에 대한 심도 높은 이해는 콘텐츠의 일관성을 높이고, 수정 횟수를 줄이며, 모든 서비스에서 브랜드와 이용자에게 더욱 정밀하게 부합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더 빠른 발매

모든 서비스가 한 곳에서 관리되면 작업 흐름이 간소화되고, 인수인계가 빨라집니다. 일정 불일치나 커뮤니케이션 오류로 인한 지연 역시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다수의 팀이 자산과 업데이트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작업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개발 마일스톤 달성이 빨라지면서 반복 주기도 짧아져 병목 현상 역시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공급업체를 분산하는 전략은 매력적인 선택지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에 따르는 비용이 얻는 이점보다 클 수도 있습니다. 물론, 공급업체 통합이 품질 저하나 전문적인 서비스 확보를 제한할 수 있다는 인식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미 이러한 한계를 넘어선 통합형 플랫폼 공급업체 역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업체들은 더 일관되고 고품질의 결과물을 더 낮은 리스크와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에게 복잡한 운영 업무를 위임하면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내부 팀은 실제 게임 개발과 같은 핵심적이고 창의적인 전략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간소화와 빠른 출시 속도를 통해 더 빠르고 큰 투자 대비 수익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팀 분산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이제 전략을 다시 점검할 시간입니다. Lionbridge Games와의 협업이 어떻게 게임 개발 경험과 비즈니스 성과를 바꿔놓을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해 보세요.


linkedin sharing button
  • #audio
  • #game-translation
  • #blog_posts
  • #gaming
  • #game-testing
  • #localization-testing
  • #player-experience
  • #marketing
  • #blog-posts
  • #game-services
작성자
Abigail Smathers